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이 지났다. 국민은 협치와 민생 회복을 바랐으나, 여당 민주당의 행보는 여전히 강경 투쟁과 정쟁에 치우쳐 있다. 특검 연장과 정부조직법 개정안 합의는 어렵게 이룬 정치적 성과였지만, 그 이후 여당은 협치의 문을 닫고 다시 대립 국면으로 돌아섰다.
최근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는 58%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직전 조사 대비 5%포인트 하락했고, 부정 평가는 34%로 증가했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투쟁이 아니라 안정적 국정 운영이라는 점을 여당은 직시해야 한다. 여당이 의석 수를 앞세워 정부조직법을 속전속결로 밀어붙이려 한다면, 국민은 협치를 외면하는 집권 세력으로 평가할 것이다.
대통령은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남은 임기는 ‘도약과 성장’에 온 힘을 쏟아붓겠습니다.” 그는 또한 “지난 100일은 회복·정상화를 위한 시간”였고, “경제에 긴급하게 심폐소생술을 해야 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단지 슬로건이 아니라, 현실의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나 민주당은 스스로 합의한 특검 연장을 국정 안정의 디딤돌로 삼기보다, 다시 야당과의 전면전으로 방향을 튼 듯한 인상을 준다. 이것은 집권 여당이 보여야 할 책임 있는 태도가 아니다. 정부조직법 개편에 대한 야당의 우려는 권력 집중, 견제 기능 약화 등의 비판, 듣기보다는 여당인 민주당이 의석이 많음을 배경으로 일방 추진 가능성을 암시한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민주당 내부의 혼선도 심각하다. 대통령의 분명한 메시지와 원내 지도부의 대응이 엇박자를 내고, 강경파와 협상파가 갈등을 벌이는 모습이 반복된다면 국정 동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여당이 권력투쟁과 전투적 정치를 계속한다면, 내년 총선에서 국민의 심판은 불 보듯 뻔하다.
민주당은 더 이상 야당 시절의 투쟁 본능에 기대서는 안 된다. 다수 의석을 무기 삼아 야당을 몰아붙이기보다, 야당과의 대화·타협을 통해 국정을 운영해야 한다. 그것이 집권 세력의 본분이다. 대통령이 제시한 ‘회복과 성장’이 허울뿐인 구호로 남지 않으려면, 여당은 협치와 민생에 전념해야 한다. 정쟁에 매달리는 순간 국정은 마비되고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간다.
민주당은 지금이 바로 선택의 순간임을 명심해야 한다. 투쟁 정당으로 남아 과거의 연장선에 머물 것인가, 집권 여당으로서 국정을 책임질 것인가. 국민은 이미 답을 내렸고, 그 심판은 냉정하다. 여당이 변하지 않는다면 국민은 다음 선거에서 준엄한 심판으로 응답할 것이다.